OA236665_1_crop

Beomjong

<When tiger used to smoke>컬렉션은 지속 가능성이 내포하는 의미를 확대해석하여 문화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프로젝트이다. 각 분야의 명장들과의 대화를 통해 받은 영감을 현대적인 가구 디자인과 전통문화를 접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을 목표로 하며, 이 컬렉션을 통해 잊혀가는 문화에 대한 접근성과 기존 전통공예에 대한 인식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When tiger used to smoke> collection implies the idea of long-term sustainability by working with masters of each field who deserve much more recognition, and incorporating modern furniture design with our traditional culture to make it more approachable.
범종(Beomjong)은 모든 중생에게 평화와 위안을 가져다준다는 의미에서 다양한 불교 예식과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범종의 형태적, 기능적 특징을 차용한 키네틱 모빌이다.

한국의 종은 서양의 종과 달리 종 안쪽에서 타격을 해 소리의 울림을 만드는 것이 아닌 종의 겉면을 타격하여 소리를 증폭시킨다는 점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줄을 당기면 도르래가 돌아가며 외부 구조물이 종의 외부 표면을 두드려 종을 울리는 방식으로 사용자와 오브제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한 장의 평평한 동판을 금속 방적 장인과의 협업으로 시보리(spinning)가공을 통해 제작되었으며, 동판으로 제작된 종 표면에 박정근 작가와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칠보 기법으로 표현한 실험적 소재와 마감은 금속과 도자, 유리 등 다양한 전통적 소재의 시각적 치환가능성을 보여준다.

 
Beomjong’s unique characteristic is the fact it is designed to ring on the outside by human force, unlike other bells. 
It comes with a pulley so when the user pulls the string, the outer structure will ring the bell to emphasize Beomjong’s characteristic in an interactive way.

Bells play a crucial role in a variety of Buddhist services and rituals; their sound is considered auspicious, and is believed to bring peace and comfort to all sentient beings, even those who are suffering in hell. The bell shape looks like an upside down 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