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ece to Life
생물 다양성 과학 기구에서 발표한 지구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수십 년 내 생물 100만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할 것이고, 그 수십 년 내에 지구에 사는 동식물의 8분의 1이 사라질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원인은 인간의 생태 자원 남용입니다. 2016년 8월 8일 이후로 지구가 생산할 수 있는 자원의 양보다 인류가 소비해버리는 자원의 양이 더 많아졌습니다. 현재 우리가 쓰는 자원은 미래세대에게 빌려 쓰는 부채 상태, 즉 생태적 적자 상태입니다.
지속 가능하지 않는 자원 흐름에 대처하기 위해서, 역방향으로 개개인들의 일상생활 속 환경운동 실천을 이끌어 내고자 Piece to Life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Piece to Life에서 Piece는 쓰레기 조각을 의미합니다.
1. 하루하루의 소소한 환경운동 실천을 체크리스트에 기록합니다.
2. 오늘의 실천 횟수만큼 화면 속의 쓰레기를 버립니다.
3. 쓰레기를 전부 처리하고 나면 멸종 위기 동물을 발견합니다.
유저는 쓰레기 더미 동물에서 쓰레기를 하나하나 치워 동물을 원래의 모습으로 돌려주는 과정을 통해 직관적인 메시지를 받습니다. Piece to life는 환경을 위한 소확행을 실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힘을 더하고, 활발한 논의의 장을 마련합니다. .
According to the Global Assessment Report released by PBES, within a few decades, one million species of living things will be at risk of extinction, and within that decade, one-eighth of all plants and animals on Earth will disappear. Since August 8, 2016, Earth Excess Day, the amount of resources consumed by mankind has been greater than the amount of resources that the Earth can produce. The resources we currently use are in a state of debt that we borrow from future generations, that is, an ecological deficit.
To cope with the unsustainable flow of resources, I designed Piece to Life to draw the movement in the daily life of individuals.
1. Record small daily environmental movements on the checklist.
2. Discard the garbage on the screen.
3. After all the garbage is disposed of, we find endangered animals.
Users receive an intuitive message through the process of removing the garbage from the garbage dummy animals one by one and returning the animals to their original state.





